다시보기
경제기자M 이승훈입니다.
가전제품에 육아용품, 각종 상품권까지 중고거래 앱에서 구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요즘은 부동산도 직거래한다고 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중개수수료겠죠.
10억 아파트 매매할 때 500만 원, 보증금 1천만 원에 30만 원 짜리 월세방도 20만 원을 중개사에게 줘야 하기 때문이죠.
다른 이유도 있다고 합니다.
급할 때 중개사를 기다리지 않고 자신이 직접 매물을 내놓거나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VCR1---
1년 반 전, 계약이 끝나기도 전에 급하게 전세방을 빼야 했던 이한비 씨.
공인중개사에게 다음 임차인을 구해달라고 했지만, 시한은 다가오는데 계약자는 나타나지 않아 애를 먹었습니다.
▶ 인터뷰 : 이한비 / 서울 은평구
- "부동산에 집을 내놨는데 세입자가 안 구해져서 당근을 올려보자…. 부동산 카테고리에 매물도 많이 올라와 있고 활성화도…."
---
이 씨가 이용한 중고거래 앱은 매주 쓰는 이용자가 1,400만 명에 이르는데요.
이 플랫폼을 통한 부동산 거래 건수는 지난해 5만 9,450여 건으로, 2021년 268건에서 221배나 폭증했습니다.
문제는 온라인 상 거짓 매물도 늘어 지난해 2만 1,500여 건으로, 2년 전보다 40% 넘게 증가했다는 점입니다.
자신의 오피스텔이 범죄에 이용됐다는 집주인을 만나봤습니다.
VCR2--
임대사업을 하는 박 씨는 공실인 오피스텔이 중고거래 앱에 매물로 등록돼 있다는 사실을 중개사로부터 들었습니다.
확인해 보니 오피스텔을 보겠다는 사람이 있어 비밀번호를 알려줬는데, 이 사람은 월세를 구하는 집주인인 척 물건을 올리고 여러 명에게 가계약금을 받아 챙겼습니다.
신분증도 위조했습니다.
▶ 인터뷰 : 박 모 씨
- "(다른 매물에서도) 3일 동안 16분 정도 (문의) 채팅을 했더라고요. 16명 정도 잠재적 피해자가 생긴 것이잖아요."
박 씨 물건이 올려져 있던 이 앱을 통한 부동산 사기 피해는 지난 2년간 모두 18건으로, 피해금액은 17억 원에 이릅니다.
----
문제가 커지자 정부는 매물을 등록할 때 실명으로 인증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권고 사항입니다.
결국 피해를 당하지 않으려면 거래 당사자들이 꼼꼼히 확인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 인터뷰 : 양정아 /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대의원
- "소유자들이 비번을 알려주는 경우가 있어요. 웬만하면 직접 있을 때 보게 하시고, 직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임대인의) 주민등록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운전면허증은 경찰청 '교통민원24'에서 진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화 자동응답서비스 '1382'에서도 가능합니다.
또,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다른 계좌를 주더라도 반드시 등기부등본상 명의자의 은행 계좌로 입금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경제기자M이었습니다.
[lee.seunghoon@mbn.co.kr]
영상취재 : 현기혁 VJ
영상편집 : 이우주
그래픽 : 최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