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제외 전 지역 매도자 증가
![]() |
↑ 사진 = 연합뉴스 |
서울에서 아파트를 팔겠다는 사람의 비중이 지난주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8.6을 기록하며 지난주(99.6)에 이어 2주 연속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습니다.
기준선인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음을,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음을 의미합니다.
최근 금융당국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역대급 종부세 부과까지 더해지면서 매수 심리가 더 위축된 것으로 보입니다.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은 지난주 99.5에서 98.2로, 서남권(양천·강서·구로·영등포·동작·관악구)은 99.7에서 98.2로 각각 떨어졌습니다.
또 성동·광진·노원·도봉·강북 등 8개 구가 포함된 동북권은 지난주 99.4에서 이번주 99.3으로 내려왔습니다.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구)은 서울에서 가장 낮은 97.4를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일명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대출로 투자) 수요의 이자 부담이 커짐에 따라 당분간
경기도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도 100.1을 기록해 기준선에 가까워졌습니다. 이번 주 부산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도 99.1로, 올해 4월 19일(99.8) 이후 7개월여 만에 처음으로 100 이하로 내려왔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 지수는 100.5로, 지난주(100.8)보다 0.3p 하락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