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ST1 기반의 개조차량 R1 특별교통수단으로 차별없는 이동 경험 제공
![]() |
↑ 거동이 불편한 승객이 차량의 옆문으로 탑승하는 모습 <사진출처 : 현대차> |
기존 장애인 대상 호출 택시 차량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는 차량의 후면 테일게이트로 탑승하고, 3열에 위치한 채 이동해 불편한 승차감과 동승자와의 분리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현대차는 신체적 장애가 있는 사람도 동일하게 2열 도어로 탑승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유니버셜 디자인을 기반으로 ST1을 개조한 특별교통수단 R1과 수요응답교통 셔클 플랫폼으로 교통약자 이동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셔클 플랫폼은 현대차가 개발 및 운영 중인 수요응답교통(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 서비스입니다. 이용자가 차량을 호출 시 차량은 최적 경로를 따라 도착지까지 이동하며 이동 중 신규 호출이 발생하면 유사한 경로의 승객이 함께 탑승할 수 있게 차량을 배차하는 식으로 운영됩니다.
‘셔클 교통약자 이동서비스’는 중증장애인 증명을 받은 내국인이라면 누구나 일 2회까지 동승자 2인을 포함해 무료로 탑승
현대차 모빌리티사업실 김수영 상무는 "이번 실증은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이라는 사회 현안에 대한 실질적인 솔루션을 지자체와 협력하여 검증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며, “앞으로도 다양한 솔루션을 통해 모든 사람이 이동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