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사료 전환 시 실제 환경 이익은 더 클 것으로 예상
![]() |
↑ 반려동물 / 사진 = 연합뉴스 |
개와 고양이의 사료를 식물성으로 바꾸면 가축 70억 마리의 도축을 피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오늘(5일) 나왔습니다.
호주 그리피스대 앤드루 나이트 교수는 온라인 과학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미국과 전 세계 고양이와 개의 먹이를 영양가 높은 식물성으로 바꾸는 시나리오의 영향을 분석,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나이트 교수는 인류가 소비하는 축산 육류의 약 10분의 1은 전 세계 개와 고양이의 사료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반려동물의 먹이가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며 연구 배경을 밝혔습니다. 최근 식물성 사료가 육류, 달걀, 유제품 등이 포함된 동물성 사료와 영양학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식물성 사료의 환경적 이점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나이트 교수는 연구팀은 미국의 2020년 반려동물 데이터와 2018년 세계 반려동물 데이터를 사용해 모든 고양이와 개의 먹이를 식물성 사료로 전환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잠재적 이점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미국의 모든 개와 고양이 사료를 식물성으로 전환하면 연간 약 20억 마리의 가축이, 전 세계 개와 고양이 먹이를 식물성으로 바꾸면 70억 마리의 가축이 도축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개와 고양이의 식물성 사료 전환은 토지 및 물 사용, 온실가스 배출, 살생물제(biocide) 사용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됩니다.
나이트 교수는 "이번 연구에는 반려동물 개체수와 동물의 에너지 요구량 데이터가 실제보다 낮게 반영됐을 수 있다"며 식물성 사료 전환의 실제 환경적 이점은 더 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 연구는 국가별 반려동물 식재료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미국 데이터를 세계에 적용하고 환경영향 추정에 2009~2011년 데이터를 사용하는 등 한계가 있다며 더 정확한 분석을
나이트 교수는 "이 연구는 식물성 식단을 사람뿐 아니라 반려동물에 적용할 경우의 환경적 이점을 보여준다"며 "다만 반려동물 건강을 위해서는 좋은 기준을 갖춘 회사가 생산하고 영양학적으로 완전한 식물성 사료를 먹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혜균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catfis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