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전라북도와 남도로 나뉘어 있지만, 조선시대만 해도 전라도(全羅道)였습니다.
전주(全州)의 '전', 나주(羅州)의 '라' 앞글자를 딴 지명이 전라도라 할 정도로 과거 나주는 전주와 더불어 호남에서 매우 큰 고을이었습니다.
금성산을 등에 지고 남쪽엔 영산강이 맞닿은 지세가 한양과 닮아 작은 서울, 소경(小京)으로 불릴 정도였는데, 그 모습을 일부 간직한 곳이 나주읍성입니다.
벚꽃이 흩날리는 나주읍성에서 과거 나주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봄맞이 축제가 열립니다.
나주시는 이번 주말인 4일부터 6일까지 금성관, 서성문을 비롯한 나주읍성 문화재 일원에서 '제5회 천년나주목읍성문화축제'를 개최합니다.
'나주목 봄나들이, 상춘(賞春)'을 주제로 조선시대 호남의 행정, 국방, 지리적 핵심 역할을 했던 나주목과 나주읍성 시전 거리를 재현해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 거리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 |
↑ 나주읍성 앞에서 열리는 조선 수문장 교대 의식 / 사진=나주시 제공 |
조선 수문장 교대 의식과 삼색유산놀이, 한복패션쇼 등 전통문화 공연과 읍면동 시민노래자랑, 동·서부 줄다리기, 시민 대동놀이 한마당 등 주민 참여 행사가 다채롭게 진행됩니다.
특히 축제장 일원에선 '조선시대 시전 거리'를 재현합니다. 시전(市廛)은 고을이나 도시에 있던 상점가를 뜻하는데 주로 오늘날 종로를 중심으로 운영했던 조선시대 상설 시장입니다.
쌀·건어물·과일전, 읍성 주막 등 방문객의 허기를 달래줄 각종 먹거리와 더불어 조선 잡사 재담꾼, 보부상 등 저잣거리 인물들이 재미를 더할 예정입니다.
여기에 캘리그라피 아트, 도심 캠핑, 조선 게임 열전, 어린이 당근마켓 등 가족 단위 체험프로그램과 인근 한수제에선 벚꽃축제도 함께 열려 봄의 낭만을 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준정 추진위원장은 "벚꽃이 가득한 봄날에 제5회 천년나주목읍성문화축제에서 가족과 연인, 친구들과 함께 오직 나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가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 |
↑ 천년나주목읍성문화축제 포스터 / 자료=나주시 제공 |
[정치훈 기자 pressjeong@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