덥고 습한 여름에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한편 세균 발생과 번식은 활발해 장염에 걸리기 쉽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세균성 장염 환자의 절반이 6~8월 중에 발생한다. 그러잖아도 기력이 달리는 여름, 배탈과 설사 예방은 건강한 여름나기의 선결 조건이다.
![]() |
↑ (사진 포토파크) |
한편 찬 음식은 쉽게 상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보관과 유통 과정에서 병원성 대장균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은 영하 18℃ 이하에서 부패 위험이 현저히 낮은데, 보관 온도를 지키지 않거나 유통 중 제품이 녹았다 어는 사이 대장균이 증식할 수 있다. 제조일로부터 2년이 지났거나, 포장이 손상되고 모양이 변형된 빙과류는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
휴가철 해외 여행지에서는 ‘물갈이’로 배앓이를 하는 이도 많다. 지역마다 물에 포함된 세균과 미생물이 조금씩 다른데 현지 주민은 내성이 생겨 문제가 없지만 외지인에게는 복통과 발열, 설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여름에는 특히 지하수나 약수를 피하는 게 현명하다. 염소 소독이 안 되어 노로바이러스 등 각종 식중독균에 오염될 수 있기 때문.
여름철 배앓이를 예방하려면 식수는 가능한 정수를 거치거나 끓여서 마시고, 어패류와 육류, 유제품 등은 반드시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해야 한다. 또 어떤 이유로든 설사가 계속되면 지사제부터 찾는데, 음식을 잘못 먹어 탈이 났을 때는 지사제가 오히려 독일 수 있다. 설사는 몸속의 세균과 독소를 재빨리 배출하는 작용을 하는데, 약으로 설사를 멈추면 장염이 악화될 수 있어서다. 탈수 예방을 위해 수분과 전해질을 적절히 보충하면서 일주일쯤 지켜보면 대개는 호전되지만, 심한 복통과 고열에 시달리거나, 설사에 고름이나 피가 섞여 나오면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여름철에 틈만 나면 찾는 살얼음 뜬 냉면, 빙수, 아이스크림도 배탈의 주범이다. 우리 몸의 소화 효소가 작용하는 최적 온도는 35~40℃로, 찬 음식을 먹어 소화 기관의 온도가 떨어지면 소화 효소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다. 음식을 잘못 먹은 뒤 바로 물놀이를 해도 복
각별히 찬 음식을 삼가야는 환자도 있다. 역류성식도염 환자라면 찬 음식이 식도를 수축시켜 음식물 통과를 어렵게 만들고, 심장 질환자와 고혈압 환자도 혈관이 수축해 혈액 순환을 방해할 수 있으니 되도록 멀리하자.
[글 송이령(프리랜서) 사진 포토파크]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892호(23.8.15) 기사입니다]